OTA의 의미 및 활용 가이드 매뉴얼입니다!
OTA는 호텔 객실, 항공권, 렌터카, 여행 패키지 등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중개 플랫폼으로, 호텔의 노출도를 높이고 객실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본 매뉴얼은 OTA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OTA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전 세계 고객 확보: OTA는 글로벌 마케팅을 통해 많은 여행객을 호텔에 유치.
- 예약 편의성: 모바일 및 웹을 통한 24시간 실시간 예약이 가능.
- 리뷰 및 브랜드 신뢰도 구축: 고객 리뷰 기능이 있어 호텔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
- 비수기 세일 가능: OTA 프로모션을 이용해 비수기에도 객실점유율 상승 가능.
- 단점
- 높은 수수료 부담: OTA는 예약당 10~30%의 수수료를 부과.
- 브랜드 충성도 감소: 고객이 직접 호텔이 아닌 OTA를 통해 예약하는 경우, 호텔 자체 브랜드의 인지도가 낮아질 수 있음.
- 가격 경쟁 심화: OTA 간 경쟁으로 인해 가격이 과도하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OTA 수수료 및 정산 방식
- 선불(Prepaid) 방식
- OTA가 고객에게 숙박 요금을 선결제 받고, 호텔에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송금함.
- 대표적인 예: Expedia, Agoda
- 후불(Postpaid) 방식
- 고객이 호텔에서 직접 결제하며, OTA는 매월 말 정산 후 청구서 발행.
- 대표적인 예: Booking.com
- 호텔 입장에서는 선불 방식을 통해 현금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OTA의 환불 정책을 고려해야 함.
OTA 관리 방법
- OTA 포털에 직접 로그인하여 재고 및 요금 설정
- OTA마다 개별적으로 로그인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됨.
- 수동 관리로 인해 오버부킹(Overbooking) 위험이 있음.
- 호텔관리시스템(PMS)과 OTA를 연동
- 호텔 예약 관리 시스템(Property Management System, PMS)과 OTA API를 연결해 자동으로 재고 업데이트 가능.
- 예약 발생 시 실시간 반영으로 재고 오류를 방지함.
-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 활용
- 여러 OTA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툴로 △요금 조정 △프로모션 운영 △재고 조절이 효율적임.
- 대표적인 채널 매니저: SiteMinder, STAAH, RateGain
- 중대형 호텔은 PMS + 채널 매니저 조합을 활용하면 OTA 관리의 효율성이 극대화됨.
OTA를 활용한 매출 극대화 전략
- OTA 전용 요금제 운영
- OTA에서만 적용되는 특가 요금을 만들어 고객 유입을 높임.
- 얼리버드(Early Bird) 및 라스트 미닛(Last Minute) 요금제로 예약률 증대 가능.
- 고객 리뷰(Review) 관리
- 리뷰 평점은 OTA 내 호텔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침.
- 고객 리뷰에 빠르게 응답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할 것.
- 프로모션 및 로열티 프로그램 활용
- OTA에서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적극 활용하여 광고 비용 최소화.
- 자체 멤버십 프로모션을 활용해 OTA 고객을 호텔 공식 사이트 예약 고객으로 유도.
-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격 최적화
- OTA에서 제공하는 마켓 데이터 및 경쟁사 분석을 활용해 동적(Dynamic) 가격 책정.
- 예약 패턴을 분석하여 평일 vs 주말, 성수기 vs 비수기 요금 차별화 전략 적용.
OTA는 호텔의 매출 증대와 글로벌 고객 유입을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높은 수수료 부담과 가격 경쟁 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텔 웹사이트 및 직판 채널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TA 활용 전략을 제대로 수립하여, 호텔 운영의 수익성을 최대화하시기 바랍니다!